미분류

연말정산 세액 계산,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이 글에서는 연말정산 세액 계산 과정을 살펴보고,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 개념과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매달 받는 급여명세서에는 소득세💰라는 공제 항목이 있습니다. 💡급여액수에 따라서 일정 비율의 세금을 매겨 매달 납부를 하고 있는 겁니다. 이때 납부하는 소득세는 국세청에서 정한 간이세액표에 따라 매겨집니다. 이렇게 매달 급여소득에 대해 세금을 납부하는 것을 ‘원천징수’라고 합니다.

연말정산이란?


모든 소득에는 세금이 부과됩니다. 회사에서 일한 대가로 생기는 근로소득에도 세금이 부과되고, 회사는 근로자가 내야 할 세금을 급여에서 원천징수 합니다.

근로소득 전액에 세금을 부과하는 것은 아닙니다.

총급여에서 세금 부과 대상이 되는 소득만을 산출한 후 그에 대해서만 세금을 부과합니다. 부양가족 여부, 기부금 지출, 교육비, 의료비 등 해당하는 사항이 있다면 세금을 공제 또는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이미 납부한 일년치 세금은 이런 부분이 반영되지 않은채 간이세액표를 근거로 ‘추정’하여 납부한 금액입니다. 따라서 일년간 내가 납부한 세금이 적절한지 제대로 계산해보는 절차가 필요합니다. 그것이 ‘연말정산’입니다.

연말정산 세액 계산 과정

1️⃣ 총급여액 – 근로소득공제 = 근로소득액

2️⃣ 근로소득액 – 소득공제 = 과세표준

3️⃣ 과세표준 × 세율 = 산출세액

4️⃣ 산출세액 – 세액공제 = 결정세액

5️⃣ 결정세액 – 기납부세액 = 최종 연말정산 금액

우리는 이중에서 공제 항목을 주의깊게 봐야합니다. 공제는 세금을 줄이는 것이니까요.
먼저 ‘총급여액’과 ‘근로소득공제’에 관해 살펴보겠습니다.

총급여액

연말정산에서 총급여는 연봉에서 식대나 보육 수당 같은 ‘비과세 소득’을 뺀 금액입니다.
비과세 소득이란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 소득입니다. 연말정산에서는 세금을 부과하는 소득인 총 급여액을 기준으로 각종 공제액을 정합니다.

근로소득공제

보통의 월급 받는 직장인이라면 기본적으로 받을 수 있는 공제입니다. 총급여액이 얼마인지에 따라 공제율이 다릅니다.

총급여액 구간근로소득공제금액
500만원 이하총급여액의 70%
500만원 초과 1,500만원 이하350만원 + (총급여액 – 500만원) × 40%
1,500만원 초과 4,500만원 이하750만원 + (총급여액 – 1,500만원) × 15%
4,500만원 초과 1억원 이하1,200만원 + (총급여액 – 4,500만원) × 5%
1억원 초과1,475만원 + (총급여액 – 1억원) × 2%
근로소득공제액 2023

【예시】 총급여 3,380만원인 경우 근로소득공제액과 근로소득액은?

근로소득공제액 1,032만원 = 750만원 + (3,380만원 – 1,500만원) × 15%
근로소득액 2,348만원 = 3,380만원 – 1,032만원


이제 본격적으로 연말정산 세액 계산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총급여에서 인적공제, 신용카드공제 등의 소득공제 항목을 적용합니다. 소득공제 후 계산되어 나온 금액이 바로 세금 부과 대상 소득입니다. 이를 ‘과세표준‘이라고 합니다.

과세표준이란, 세금 부과 대상 금액으로 국세청에서 기준을 정해놓고 해당 기준에 따라 세율을 적용해 세금을 매깁니다. 과세표준 금액이 클수록 높은 세율이 적용되어 세금을 많이 납부하게 됩니다.

과세표준 구간기본세율
1,400만원 이하과세표준의 6%
1,400만원 초과~5,000만원 이하84만원 + (1,400만원 초과금액의 15%)
5,000만원 초과~8,800만원 이하624만원 + (5,000만원 초과금액의 24%)
8,800만원 초과~1억5천만원 이하1,536만원 + (8,800만원 초과금액의 35%)
1억5천만원 초과~3억원 이하3,706만원 + (1억5천만원 초과금액의 38%)
3억원 초과~5억원 이하9,406만원 + (3억원 초과금액의 40%)
5억원 초과~10억원 이하17,406만원 + (5억원 초과금액의 42%)
10억원 초과38,406만원 + (10억원 초과금액의 45%)
산출세액 2023

【예시】 과세표준이 2,000만원인 경우 산출세액

1,740,000= 84만원 + (2,000만원 – 1,400만원) × 15%

과세표준에 세율을 곱해 ‘산출세액’이 계산되면, 산출세액에서 세금을 빼주는 세액공제 단계를 거칩니다. 세액공제에는 의료비, 교육비, 월세, 자녀세액공제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나오는게 바로 ‘결정세액‘입니다.

결정세액과 기납부세액(매달 급여에서 납부한 일년치 세금)을 비교해 결정세액보다 기납부세액이 더 많으면 세금을 환급받고, 결정세액보다 기납부세액이 더 적으면 세금을 추가로 납부하게 됩니다.

여기까지 연말정산 세액 계산 흐름을 살펴보니 세금을 줄이기 위해서는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얼마나 챙기는가가 관건인듯합니다. 소득공제, 세액공제에 따라 납부할 세액을 줄일 수 있으니 꼼꼼하게 체크해서 챙길 수 있는 부분 가져가면 좋겠습니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개념

소득공제 란?

특정 항목의 지출 내역 일부를 총 급여액에서 빼주는 것입니다. 대표적으로 인적공제, 연금/건강/고용보험료, 주택자금, 신용카드/현금영수증 등 사용액 공제 등이 있습니다.

여기서 인적공제란 자녀나 부모님 등 내가 생계를 책임지는 부양가족에 대한 지출 비용을 감면해주는 것입니다.

세액공제 란?

이미 산출된 세액에서 특정 항목을 차감해주는 것입니다. 대표적으로 연금계좌와 보험료,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월세, 자녀 세액공제 등이 있습니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차이점

소득공제는 세율을 곱하기 전 소득금액을 줄이는 것이고, 세액공제는 세율을 곱하여 발생한 세액에서 일정액을 줄이는 것입니다. 그래서 공제 효과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동일한 소득공제를 하더라도 소득금액이 높을수록 더 높은 세율을 적용받아 세금을 더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가족중에 소득이 높은 사람이 소득공제 항목을 적용받는 것이 유리합니다.

소득공제액에 공제 후 세율을 곱하기 때문에 소득이 많을수록 감면 혜택도 높아지며, 세액공제는 해당 항목에 대해 소득과 상관없이 동일하게 감면됩니다.

여기까지 연말정산 기본적인 개념 정리해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에 관해 항목별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Recent Posts

토스 모임통장 개설과 모임카드 발급: 가족모임 회비 관리

토스 모임통장 개설 이유 이번에 가족 모임을 위한 회비 모금 계좌를 토스 모임통장으로 바꿨습니다. 그간…

6개월 ago

신용점수 왜 중요한가? 높이는 비결

신용점수는 개인의 신용도를 수치화한 지표로, 금융기관이나 신용평가 기관이 개인의 과거 금융 거래 내역, 대출 상환…

6개월 ago

모임통장이란? 회비 관리의 필수템 알아보기

모임통장이란? 모임통장은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통장입니다. 이 통장은 회비를 모으고 관리하는 데…

7개월 ago

금리와 물가: 경제의 핵심 기초 개념

금리와 물가는 우리 경제 활동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개념이에요. 금리는 돈을 빌리거나 빌려줄 때…

7개월 ago

P2P 금융이란? 장점과 단점을 알아보자

최근 몇 년간 금융 시장에서 새로운 투자 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는 P2P 금융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P2P…

7개월 ago

환율 이해하기: 외환 시장의 기초

환율과 외환 거래는 글로벌 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세계 각국의 경제 상황과 정치적 사건들이…

7개월 ago